종합소득세 홍콩과 대만 국적 국내비거주자에게 기타소득 지급 시 원천징수 여부
페이지 정보

본문
Q. 당사에서는 해외에서 홍콩과 대만 국적의 발표자를 초빙하여 포럼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대상자들이 모두 국내 사업장이 없고, 거소기간도 없는 경우 홍콩 국적 비거주자와 대만 국적 비거주자에게 기타소득 지급 시 원천징수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A. 비거주자는 소득세법 제119조에 따른 국내원천소득에 한하여 한국에 납세의무가 있으며, 인적용역은 용역을 수행하는 국가에 그 소득의 원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비거주자가 국내에 입국하여 인적용역에 해당하는 발표용역을 수행하고 받는 대가는 소득세법 제119조 제6호에 따른 비거주자의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고, 소득의 실질귀속자가 홍콩 거주자인 경우, 한국-홍콩 조세조약에는 독립적 인적용역과 관련한 조항이 없어 한국-홍콩 조세조약 제7조[사업이윤] 규정이 적용되며, 해당 비거주자가 한국에 고정시설(또는 고정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만 한국에서의 과세권이 확정되고, 고정시설(고정사업장)이 없는 경우에는 조세조약에 따라 비과세ㆍ면제가 적용되어 대가 지급자의 원천징수의무가 면제됩니다.
소득의 실질귀속자가 대만 거주자인 경우, 한국-대만 조세조약 제14조에 따라 아래의 요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에는 조세조약에 따라 한국에서의 과세권이 최종적으로 확정되며, 아래 요건을 모두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에만 조세조약에 따라 비과세ㆍ면제가 되어 원천징수의무가 없는 것입니다.
① 한국 내 고정시설을(고정사업장) 보유
② 어느 12개월 중 총 183일 이상 한국에 체류
아울러, 조세조약에 따른 비과세ㆍ면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한국에 과세권이 확정되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제156조 제1항 제4호에 따른 세율(20%, 지방소득세 별도 징수)을 적용하여 원천징수 및 납부하셔야 하며, 소득 지급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연도 2월말까지 지급명세서도 제출하셔야 합니다.
관련규정 : 소득세법 제119조[비거주자의 국내원천소득], 한-홍콩 조세조약 제7조[사업이윤], 한국-대만 조세조약 제14조[독립적 인적용역]
- 이전글외국인 근로자에게 이주하는 비용을 지원하는 경우 과세 여부 25.01.16
- 다음글창업세액감면 적용 문의 25.01.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