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고시원의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적용가능 여부
페이지 정보

본문
Q. 근로자의 연말정산시 고시원 월세액에 대해 세액공제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시원(건축법, 다중생활시설, 준주택)의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금액에 대한 공제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A.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는 주택 및 주거용 오피스텔이 공제대상으로서, 고시원은 공제대상에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로 주택법상 주택은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을 말하며 “준주택”은 주택법상 주택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관련규정 : 소득세법 제52조[특별소득공제]제4항
* 소득세법 제52조 【특별소득공제】
④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세대(이하 이 항 및 제5항에서 "세대"라 한다)의 세대주(세대주가 이 항, 제5항 및 「조세특례제한법」 제87조제2항에 따른 공제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세대의 구성원을 말하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외국인을 포함한다)로서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주택(주거에 사용하는 오피스텔과 주택 및 오피스텔에 딸린 토지를 포함하며, 그 딸린 토지가 건물이 정착된 면적에 지역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배율을 곱하여 산정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주택 및 오피스텔은 제외한다)을 임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임차자금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그 금액의 100분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그 공제하는 금액과 「조세특례제한법」 제87조제2항에 따른 금액의 합계액이 연 4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금액(이하 이 항에서 "한도초과금액"이라 한다)은 없는 것으로 한다.
- 이전글부가세 예정신고 여부에 따라 예정신고 누락분을 확정신고에 포함시 국기법상 가산세 감면율 24.10.20
- 다음글월세세액공제 소득 요건을 충족하는 배우자가 세대원인 경우 세액공제 적용가능 여부 24.10.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